2022/12 60

221229 TIL

클론코딩 주차가 끝났다! 시간이 부족해 웹소켓을 잘 사용해보고자 스코프는 매우 작았지만, 새로운 기술을 사용해 볼 수 있어 너무 뜻깊은 시간이었다. 처음에 자료도 너무 없고 리액트에서 동시 접근 제어를 구현한 자료가 진짜 거의 없어서 가닥 잡기가 너무 힘들었다. 결국엔 구성했던 스코프대로 완성이 잘 되었다. 한 textarea에 작성하면 동시에 다른 사용자에게 뿌려주고, 동시에 여러명의 사용자가 작성해도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오고간다. 하지만 해결 못한 점도 있다. 바로 한줄에서 여러명의 사용자가 타이핑을 할 때의 문제이다. 일단 이 문제는 원인도 잡지 못했는데, 가나다 를 여러명이 입력하면 ㄱㄱ가간가낙닫닫나낟ㄴㄴ닫나 이렇게 이상한 문자열이 들어온다... 노션이나 구글docs도 완벽히 해결하지 못한 걸로 ..

1차 공부/TIL 2022.12.29

221226 useMemo

import { useMemo } from 'react' function Component() { const value = calculate(); return {value} } function calculate() { return 10; } 함수형 컴포넌트는 렌더링 >> 컴포넌트 함수 호출 >> 모든 내부 변수 초기화의 순서를 거칩니다. 컴포넌트가 렌더링 될 때마다 value라는 변수가 초기화되고, calculate함수는 반복적으로 호출됩니다. 만약 calculate함수가 무거운 일을 하는 함수라면 성능적으로 굉장히 비효율 적일 겁니다. useMemo를 사용하면 렌더링 >> 컴포넌트 함수 호출 >> Memoize된 함수를 재사용 의 순서를 거칩니다. useMemo를 사용해서 memoization을 해주면..

항해 6주차 미니프로젝트

처음으로 백엔드 분들과 협업을 했다. 백엔드 분들은 주특기 3주 내내 crud를 하셔서 조금 질리셨다는 이야기는 들었지만 다행히도 너그럽게 이해해주셔서 스코프를 작게 잡고 시작할 수 있었다. 다른 조에 비하면 너무 작았기 때문에 실제로 일찍 끝났고, 정상적인 범위의 스코프로 확장 할 수 있었다. 물론 그거까지 하더라도 너무 기능이 적긴 했다. 하지만 이번 프로젝트를 하면서 서버에 이미지파일을 보내야 할 때는 formdata를 사용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base64로 인코딩하여 보내려 했지만, 서버에서 저장할 수 있는 문자열의 길이가 제한이있고, 그걸 따로 설정하려면 피곤하기 때문에 백엔드 분께서 이미지파일을 위한 s3서버를 열어주셨고 자동으로 백엔드에서 전송하도록 설정해주셔서 편하게 할 수 있었다. ..

1차 공부/WIL 2022.12.26

221224 socket.io / emit

WebSocket을 사용하면 원하는 방식으로 특정 이벤트에 따른 값을 전달하거나 전달받기 어렵다. 그래서 socket.io같은 웹소켓 라이브러리를 사용한다. socket.io에는 emit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는 서버나 클라이언트 각 어느곳에서라도 원하는 이벤트명으로 특정 인자를 전달 할 수 있다. 값 뿐만 아니라 객체, 함수 등을 보낼 수 있다. 함수를 보낼 때는 서버에서 함수를 실행하는 것이아닌, 함수 실행 버튼을 보낸다고 생각하면된다. 서버단에서 함수실행버튼을 눌러 클라이언트에 실행하는 정보를 넘기고 클라이언트에서 해당 함수를 실행하는 것이다. 클라이언트에서 보낸 함수를 서버에서 직접 실행하면 심각한 보안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한다. socket.emit('enter_room', input...

221224 웹소켓

소켓통신이란? 소켓이란 두 프로그램이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양쪽에 생선되는 통신 단자이다. 소켓통신이란 서버와 클라이언트 둘이 양방향으로 연결이 이루어지는 통신으로,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없더라도 서버가 클라이언트로 요청을 보낼 수 있는 통신이다. 보통 스트리밍이나 실시칸 채팅 등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아야 하는 경우 connection을 자주 맺고 끊는 HTTP통신보다 소켓 통신이 적합하다. 소켓 통신은 계속 연결이 되어있기 때문에 HTTP통신에 비해 많은 리소스가 소모된다. 리액트에서는 socket.io-client나 stamp 등의 패키지를 사용한다.

221224 HTTP통신

HTTP란? 기존에 사용하던 HTTP통신은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요청을 보내면 서버가 응답하는 방식으로 통신이 이루어진다. 응답에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른 결과를 반환한다.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있을 때만 응답이 가능하여 단방향 통신이다. 응답을 받은 후 연결이 끊어지는 것이 보통이지만, 성능 상 필요하다면 Keep Alive옵션을 주어 일정시간동안 연결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221222 TIL

https://mukstagram.vercel.app/ 먹스타그램 mukstagram.vercel.app 완성했다! 디버깅도 마무리했고, 새로운 기능을 사용한건 딱히 없지만 저번주까지 배운 것을 활용했다는 것에 의미를 두고자했다.. 서버와 통신을 처음해보고 response값도 사실 여태까지 몰랐는데, 이번에 처음으로 response를 활용하여 작업을 진행했다. 물론 완벽히 사용한 것은 아니겠지만 그래도 활용했다는 것이 얼마나 중요할까! 진짜 어려웠지만 진짜 재밌었다. 내일부터 클론코딩인데 다음주는 새로운 기술스택을 쌓을 수 있는 기회가 될 것 같아 너무 기대된다. 끝!

1차 공부/TIL 2022.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