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2/08 2

221208 TIL

오늘은 주특기 숙련주차 시험을 봤다. 문제는 개인과제에서 구현한 Todo리스트 추가, 제거, 변경, 상세보기페이지 기능구현이었다. 직접 개인과제에서 작성한 코드들이 있던 터라 문제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풀지 못한 것 같다. 특히 상세보기페이지에서 useEffect를 사용해서 리듀서에서 action에대한 state를 가져오고, 그 state를 보여주는 걸 했어야 했는데 하지 못했다. useEffect를 사용하지 않다보니 생각도 안나서 그냥 과제에 했던대로 find를 사용하여 컴포넌트자체에서 useSelector을 사용해 특정 요소를 찾는 형식으로 풀었다. 끝

1차 공부/TIL 2022.12.08

221209 리액트의 기본 (p.455~458)

클래스형 컴포넌트의 부모 컴포넌트에서 자식 컴포넌트로 데이터를 전달할 때는 this.props를 사용합니다. 데이터를 전달하고 화면 내용을 변경할 때에도 this.props를 사용합니다. 부모에서 자식의 state변경하기 자식에서 부모의 state변경하기 컴포넌트 내부 메소드는 꼭 바인드를 해주어야한다. bind로 this값을 주지 않으려면 화살표함수를 사용해도 된다. 화살표함수로 작성할 시 this값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상위 스코프에서 this값을 찾아 바인딩 된다. 함수형 컴포넌트의 상태값은 useState훅으로 관리되기 때문에 컴포넌트의 this로부터 자유롭습니다. 또한 함수형 컴포넌트 안에서 선언한 함수들 모두 전역 객체를 this로 가지기 때문에 이벤트 핸들러에 콜백 함수를 넘기는 상황에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