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2/20 3

221220 TIL (import export)

얼마 전 기능을 구현하고자 dispatch를 사용했었다. 그런데 dispatch부분만 주석을 제거하면 자꾸 에러가 발생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thunk함수를 import하는데, 중괄호로 감싸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오늘은 이 중괄호를 사용해야하는 것과 아닌 것을 구분해보려고한다. export { react }; export const angular = 3; export default vue; 여기서 위 3가지는 아래와 같이 임포트 할 수 있다. import view, { react, angular as ANGULAR } from 'App.js' 1. react변수는 중괄호를 사용하여 그 내부에서 임포트해야한다. 2. view는 어디서 나온 것 일까? vue를 view로 명명한 것 뿐이다. 이는 어..

1차 공부/TIL 2022.12.20

221220 formdata

FormData란 ajax로 폼 전송을 가능하게 해주는 Form객체입니다. 보통은 ajax로 form을 전송할 일이 거의 없고 JSON구조로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하지만 이미지를 ajax로 업로드할 때 form전송을 필요로 합니다. 물론 base64, buffer, 2진data형식으로 서버로 전송해도됩니다. 보통 form을 제추랗면 action 속성에 의해 지정한 페이지로 이동하면서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ajax는 반대로 제출버튼을 누르면 기본 폼 동작은 e.preventDefault()로 멈추고 페이지 전환 없이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페이지 전환 없이 폼 데이터를 제출하고 싶을 때 바로 FormData객체를 사용합니다. FormData객체는 window.FormData에 위치합니다. //payload로..

221219 TIL

오늘은 이미지데이터가 옮겨지지 않던 걸 수정했다. base64를 사용해 인코딩해서 보내주려다가 결국 formData()를 사용해서 잘 보내주게 되었는데 사실 어떻게 왜 그게 해결된지는 모르겠다. 원하는 데이터 형식이 Array였지만 나는 File을 보내고있었고, formData가 어떤 형식인지 사실 나는 모른다. 지금도 모르겠다. 내일 스터디시간을 이용해서 공부해보려고한다. 왜 이미지 file형식은 데이터가 payload값에 실리지 않았는데 formdata를 사용하면 잘 전달이 되었는지.... base64로 인코딩해서 보내주면 서버에서는 어떻게 그걸 저장하는건지? 생각해보니 굳이 디코딩한 후 저장할 필요가 없지 않나 싶다. 쩃든 오늘 이것 저것 고치고 정신이 없다. 기능이 별로 없다고 쉬울거라 생각했는데..

1차 공부/TIL 2022.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