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t str = 'test'str = 'modify'변수 선언 및 할당 시 변수이름(식별자)와 변수(데이터)가 각각 메모리 상에 저장된다.아래와 같이 식별자(변수이름)은 1002번 주소에 str로 저장되고, 해당 식별자가 지닌 변수(데이터)의 주소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데이터는 따로 주소값을 받아 저장되는데, 처음 5008번을 받고 다시 재할당되자 기존 데이터 주소는 변화시키지 않은 채로 새롭게 주소값을 받아 5009번에 modify를 저장하고, 해당 주소를 str 식별자에 붙여준다. 변수 vs 상수 - 변수 : 변수 영역 메모리를 변경할 수 있음 - 상수 : 변수 영역 메모리를 변경할 수 없음 불변하다 vs 불변하지 않다 - 불변하다 : 데이터 영역 메모리를 변경할 수 없음 - 불변하지 않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