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 23

24.05.03 String 객체, Math 객체

trim() : 문자열 양쪽 끝의 공백을 없앤다.let st = " 안녕 "st.trim()// st = "안녕"필요없는 공백이나 줄바꿈을 없앨 수 있다. split() : 문자열을 특정 문자로 구분하여 나눌 수 있다.let st = "안녕나는개발자야!"st.split('\n')//st = ["안녕", "나는", "개발자", "야!"]원하는 문구를 기준으로 문자열을 나누어 배열화 시킬 수 있다.  Math.random() : 0~1사이 랜덤한 난수를 만들 수 있다.let num = Math.random()//num = 0.1235512843265462random 메소드를 사용하여 암호화가 필요한 코드에 사용할 수 있다.다만, 만에하나라는 생각으로 난수생성 라이브러리를 사..

2차 공부/TIL 2024.05.03

24.05.02 Number 객체

toFixed() 로 숫자 N번째 자릿수까지 반올림하여 출력한다.const l = 123.456798l.toFixed(2)>'123.46' isNaN(), isFinite()로 NaN(Not a Number)인지 Infinity(무한)이 아닌지 확인할 수 있다.NaN != NaN이기때문에 isNaN()으로 확인해야한다.const m = Number('숫자로 변환불가')m === NaN>falseNumber.isNaN(m)>trueconst n = 10/0InfinityNumber.isfinite(n)>Falseconst l = -10/0-InfinityNumber.isfinite(l)>FalseisFinite는 유한할때 true이고 무한일때 false이다.

2차 공부/TIL 2024.05.02

24.05.01 객체

배열엔 '인덱스'와 '요소'가 있듯이, 객체에는 '키'와 '밸류'가 있다.let arr = [0,1,2,3,4]let dict = { '가':'나', '다':'라', '마':'바', '사':'아', '자':'차'}밸류에 접근하기 위해선 배열에서 인덱스를 사용한것과 비슷하게 사용할수도 있다.let dict = { '가':'나', '다':'라', '마':'바', '사':'아', '자':'차'}dict['가'] >>> '나'dict.가 >>> '나' 객체의 속성 중 함수 자료형인 속성을 메소드라 한다. 또한 메소드 안에서 this를 사용하여 객체의 자료를 사용할 수 있다.const pet = { name: '구름', eat: function (..

2차 공부/TIL 2024.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