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27 4

배열의 평균값

내가 작성한 코드function solution(numbers) { let answer = 0; numbers.map(x=> answer+=x) return (answer/numbers.length).toFixed(1)}map 함수를 사용하여 기존에 선언한 변수 answer에 각 요소를 더하도록 작성하였다.그리고 return에서 평균값을 구해주고, toFixed()를 사용하여 소수점 1자리까지 표시하도록 작성하였다. function solution(numbers) { return numbers.reduce((a,b) => a+b, 0)/numbers.length;}reduce 메서드를 사용하면 더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다.reduce는 배열의 값을 더하거나 곱할 때 사용한다.위 코드..

짝수의 합

내가 쓴 코드function solution(n) { let answer = 0; for (let i=0; i반복문과 조건문을 활용하여 짝수일때만 변수에 더하도록 설정하였다. 다른사람이 작성한 코드function solution(n) { var answer = 0; for(let i=2 ; i반복문만을 활용하여 i가 2부터 시작해 짝수로만 증가하게하고 n까지 비교하여 더하도록하였다.내가 작성한 코드는 반복문도 두배에 매 반복마다 조건을 검사해야했는데, 이렇게 짝수로만 반복문을 사용하면연산시간을 엄청나게 줄일 수 있다.

두 수의 나눗셈

내가 작성한 코드function solution(num1, num2) { return Math.floor(num1/num2*1000);}Math.floor()을 이용해 내림을 사용하여 알고리즘을 풀어냈다.하지만 floor은 '버림'이 아닌 '내림'이므로 음수값이 출력되었을 때 틀리게 나온다.따라서 Math.trunc()의 '버림'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알맞다. 예를들어 num1이 -3, num2가 2일 때 -3/2는 -1.5이다.여기서 문제는 정수 부분만 원하므로 -1이 나와야하지만, 음수에서의 내림은 0방향에서 먼쪽으로 내리므로Math.floor()을 사용하게되면 -2가 나온다. 따라서 Math.trunc()를 사용하여 -1을 도출해내는 것이 알맞다. 알맞은 코드function solution(n..

24.05.27 React 트랙을 신청한 이유

내가 React 트랙에 참여한 계기는 무엇인가요?제일먼저, 공부하는 것에 재미가 있었다. 의무교육과 전공, 전공심화까지 16년의 교육을 받았지만 암기형식으로 배우고 시험을 위해 공부했던 때는 좋은 성적을 받을 때만 공부에 대한 보상감을 느꼈지만, 이전에 웹 프로그래밍을 배우며 공부에 흥미를 느꼈던 것이 가장 큰 이유이다. 이전 과정을 마치고 졸업하기위해 학교로 돌아갔을 때에도 지루하고 그냥 시간을 죽이며 살아왔던 것 같다. 하지만 코딩을 배울 때 만큼은 배움에서의 재미를 느껴 React 트랙에 참여하게 되었다.내가 이해한 개발자는 어떤 역할을 하는 사람인가요? 내가 이해한 개발자의 역할은 소통창구이다. 특히나 프론트엔드의 경우 더욱이 그렇다고 생각한다. 백엔드와 데이터의 흐름을 조율하고, 디자이너와 뷰를..

2차 공부/TIL 2024.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