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44

221226 useMemo

import { useMemo } from 'react' function Component() { const value = calculate(); return {value} } function calculate() { return 10; } 함수형 컴포넌트는 렌더링 >> 컴포넌트 함수 호출 >> 모든 내부 변수 초기화의 순서를 거칩니다. 컴포넌트가 렌더링 될 때마다 value라는 변수가 초기화되고, calculate함수는 반복적으로 호출됩니다. 만약 calculate함수가 무거운 일을 하는 함수라면 성능적으로 굉장히 비효율 적일 겁니다. useMemo를 사용하면 렌더링 >> 컴포넌트 함수 호출 >> Memoize된 함수를 재사용 의 순서를 거칩니다. useMemo를 사용해서 memoization을 해주면..

항해 6주차 미니프로젝트

처음으로 백엔드 분들과 협업을 했다. 백엔드 분들은 주특기 3주 내내 crud를 하셔서 조금 질리셨다는 이야기는 들었지만 다행히도 너그럽게 이해해주셔서 스코프를 작게 잡고 시작할 수 있었다. 다른 조에 비하면 너무 작았기 때문에 실제로 일찍 끝났고, 정상적인 범위의 스코프로 확장 할 수 있었다. 물론 그거까지 하더라도 너무 기능이 적긴 했다. 하지만 이번 프로젝트를 하면서 서버에 이미지파일을 보내야 할 때는 formdata를 사용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base64로 인코딩하여 보내려 했지만, 서버에서 저장할 수 있는 문자열의 길이가 제한이있고, 그걸 따로 설정하려면 피곤하기 때문에 백엔드 분께서 이미지파일을 위한 s3서버를 열어주셨고 자동으로 백엔드에서 전송하도록 설정해주셔서 편하게 할 수 있었다. ..

1차 공부/WIL 2022.12.26

221224 socket.io / emit

WebSocket을 사용하면 원하는 방식으로 특정 이벤트에 따른 값을 전달하거나 전달받기 어렵다. 그래서 socket.io같은 웹소켓 라이브러리를 사용한다. socket.io에는 emit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는 서버나 클라이언트 각 어느곳에서라도 원하는 이벤트명으로 특정 인자를 전달 할 수 있다. 값 뿐만 아니라 객체, 함수 등을 보낼 수 있다. 함수를 보낼 때는 서버에서 함수를 실행하는 것이아닌, 함수 실행 버튼을 보낸다고 생각하면된다. 서버단에서 함수실행버튼을 눌러 클라이언트에 실행하는 정보를 넘기고 클라이언트에서 해당 함수를 실행하는 것이다. 클라이언트에서 보낸 함수를 서버에서 직접 실행하면 심각한 보안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한다. socket.emit('enter_room', input...

221224 웹소켓

소켓통신이란? 소켓이란 두 프로그램이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양쪽에 생선되는 통신 단자이다. 소켓통신이란 서버와 클라이언트 둘이 양방향으로 연결이 이루어지는 통신으로,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없더라도 서버가 클라이언트로 요청을 보낼 수 있는 통신이다. 보통 스트리밍이나 실시칸 채팅 등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아야 하는 경우 connection을 자주 맺고 끊는 HTTP통신보다 소켓 통신이 적합하다. 소켓 통신은 계속 연결이 되어있기 때문에 HTTP통신에 비해 많은 리소스가 소모된다. 리액트에서는 socket.io-client나 stamp 등의 패키지를 사용한다.

221224 HTTP통신

HTTP란? 기존에 사용하던 HTTP통신은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요청을 보내면 서버가 응답하는 방식으로 통신이 이루어진다. 응답에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른 결과를 반환한다.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있을 때만 응답이 가능하여 단방향 통신이다. 응답을 받은 후 연결이 끊어지는 것이 보통이지만, 성능 상 필요하다면 Keep Alive옵션을 주어 일정시간동안 연결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221222 TIL

https://mukstagram.vercel.app/ 먹스타그램 mukstagram.vercel.app 완성했다! 디버깅도 마무리했고, 새로운 기능을 사용한건 딱히 없지만 저번주까지 배운 것을 활용했다는 것에 의미를 두고자했다.. 서버와 통신을 처음해보고 response값도 사실 여태까지 몰랐는데, 이번에 처음으로 response를 활용하여 작업을 진행했다. 물론 완벽히 사용한 것은 아니겠지만 그래도 활용했다는 것이 얼마나 중요할까! 진짜 어려웠지만 진짜 재밌었다. 내일부터 클론코딩인데 다음주는 새로운 기술스택을 쌓을 수 있는 기회가 될 것 같아 너무 기대된다. 끝!

1차 공부/TIL 2022.12.22

221221 TIL

오늘 기능을 마무리했다. 헤더에 토큰도 담아서 보내주고, 그 토큰을 백엔드에서 유효한지 검사하여 보내준 response값에 따라서 특정 기능의 작동유무를 결정한다. 이제야 api에서 응답코드 (ex)200, 400, 404)나 message를 보내주는 이유를 알게 되었다. 팀원분인 태근님께서 axios module에서 페이지를 이동하는 방법을 여쭤보셨다. 예전에는 history라는 패키지를 사용하여 해결했던 것 같은데 이제는 navigate를사용하기 때문에 history를 사용하지 않아서 res값에따라 window.location.href ='~~~' 를 진행하도록 하였다. post나 put 명령을 보내고, 메인페이지에서 get할 때 변경된 데이터가 들어오지 않는 문제도 있었다. 이는 dispatch명령..

1차 공부/TIL 2022.12.21

221221 태그정리2

태그정리1 = https://codingpracticenote.tistory.com/125 221219 태그 정리 태그의 분류 block 태그 block태그는 새로운 라인에서 시작되며, block태그 다음에 오는 모든 태그들은 새 라인에서 시작 block태그들은 css 속성 중 height width margin padding을 작성할 수 있다. / inline 태그 codingpracticenote.tistory.com img 태그 이미지를 가져온 src 속성 : 가져올 이미지의 주소 alt 속성 : 이미지 불러오기 실패 시 보여줄 문자열 width 속성 : 이미지의 가로의 길이 height 속성 : 이미지의 세로의 길이 input 태그 입력창을 만드는 태그 속성 type에 따라 다양한 속성을 가진 입..

221220 TIL (import export)

얼마 전 기능을 구현하고자 dispatch를 사용했었다. 그런데 dispatch부분만 주석을 제거하면 자꾸 에러가 발생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thunk함수를 import하는데, 중괄호로 감싸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오늘은 이 중괄호를 사용해야하는 것과 아닌 것을 구분해보려고한다. export { react }; export const angular = 3; export default vue; 여기서 위 3가지는 아래와 같이 임포트 할 수 있다. import view, { react, angular as ANGULAR } from 'App.js' 1. react변수는 중괄호를 사용하여 그 내부에서 임포트해야한다. 2. view는 어디서 나온 것 일까? vue를 view로 명명한 것 뿐이다. 이는 어..

1차 공부/TIL 2022.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