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공부/TIL 39

221127 props로 함수를 내려주는 이유는 뭘까?

props는 부모컴포넌트에서 자식컴포넌트로 전달하는 값이다. 규칙중에 자식컴포넌트는 부모컴포넌트로 props를 전달하지 못하는 것이 있다. 그럼 함수를 내려보면 어떨까? 함수에 useState의 변경하는 함수를 넣어두고. const removeWorkHandler = (id) => { //해당 id값만 제거 const newWorkList = works.filter((work) => work.id !== id); //state 재할당 setWorks(newWorkList); }; 에를 들면 위와 같은 함수를 내리면, 자식컴포넌트에 해당 함수를 내리고 그 함수를 자식객체에서 어떠한 방법으로 사용했을 때 setWorks를 사용해 부모컴포넌트에서 정의된 State를 변경할 수 있다. 규칙을 어긋나는 리액트만의..

1차 공부/TIL 2022.11.27

221122 til

알고리즘문제 풀어야하는건 다 풀었다. 새롭게 reduce(), map(), fill()에 대해 공부했다. 솔직히 fill빼면 너무 어려웠는데, 다행히 잘 정리된 블로그들이 있어서 이해하는데 좀더 쉬웠던것 같다. 내일은 풀었던 알고리즘 문제를 다 블로그에 정리하고, map에 대해 더 공부해야 할 것 같다. 풀었던 문제들에 주석을 남기고, 그걸 다시 블로그에 정리하면서 다시 푸는 느낌이 들어서 잘 이해가 되는 것 같다. 끝.

1차 공부/TIL 2022.11.22

221121 til

오늘은 알고리즘 문제를 주구장창 풀었다. 생각보다 엄청 쉬웠던 문제도 있었고, 이 메소드를 사용해야하나? 싶어 썼더니 풀린 문제도 있었다. 또, 이렇게 이렇게 하면 풀릴거 같은데? 해서 검색 후 mdn에서 사용방법을 찾아 푼 문제도 있었다. ex) 배열의 특정 단어를 찾기 JS 어떤 문제는 풀다가 방법이 떠오르지 않아 답안을 검색한 것도 있었는데... 대부분 그런 것들은 접근 방식이 아예 틀렸던 것들이었다. 예를 들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isNaN()을 써서 푸는데 나는 그걸 중첩반복문, 반복문속의 조건문, 중첩 조건문...등 너무 어렵게 접근했던 적도 있었던 것 같다. 물론 그렇게해서 풀면 푸는거겠지만 결국엔 대부분이 그렇게 못풀었다... 내가 조금 생각해서 풀었던 문제들은 대부분 for문이나 if문으로..

1차 공부/TIL 2022.11.21

221118 til

오랜만에 til을 작성한다.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풀스택미니프로젝트를 하느라 정신이 너무 없었다. 분명 배운건데 기억이 안났고, 계속 질문헀고.... 답변 받아도 어려웠다 ㅠㅠ til써야할 것이 엄청나게 쌓여있는데 할건 또 많아서 아마 내일 js에 관한 til을 하나 작성하고, 프로젝트했던 것과 토요일에 작성할 til을 어느정도 정리해서 일요일에 Weekly I Learn을 작성 할 예정이다. 확실히 온보딩 기간보다 시간도 더 많이 쓰기도 하지만, 난이도도 올라가고있다는게 확 느껴진다. 알고리즘 문제를 풀진 않았지만 주변에서 물어보는걸 보면 과연 내가 손은 댈 수 있을까 라는 의문이 들기도 한다 ㅋㅋㅋ 내일 JS관련 기본공부를 마치고 관련 til을 작성하고 알고리즘 문제를 몇개 풀어보면서 좌절감을 느껴야..

1차 공부/TIL 2022.11.18

221112 객체(6장)

57페이지. 오늘 읽고 쓰고 이해해야 할 범위였다. 어제는 쓰는데 사용되는, 볼펜과 마주하는 근육만 눌림에 의해 고통스러웠다면 오늘은 손목까지 아팠다... 장시간 공책에 쓰다보니 필기자세가 점점 편한 자세를 찾을 수 밖에 없고, 그러다보니 손목에 무리가 가는 것 같다. 또, 하루종일 의자에 앉아 구부정한 자세로 책상만 보니 허리도 목도 아프다... 어제와 마찬가지로 til은 공책으로 대신하고, 틀린문제, 헷갈리던것, 알아야 할 것을 쓰고 마무리를 하려고 한다. 아직 0주찬데 벌써부터 이러면.... 걱정이다. 알아야 할 것 사실 객체는 전부 알아야 할 거라고 생각하는데, 너무 그 양이 많다보니 헷갈렸던 것과 중요하게 생각했던 것만 적도록 한다. 객체에 속성 추가 객체[속성] = 값 //////// 객체.속..

1차 공부/TIL 2022.11.12

221111 함수 (5장)

시작은 쉬웠다. 웹종에서 이해못한 함수와는 달리 아주 기초부터 알려주기 때문에 양만많지 할만하네 라는 생각이었다. 하지만 점점 페이지가 넘어가고 예제를 살짝 비틀어 내가 원하는 대로 함수를 사용해서 최댓값을 표시하라는 문제가 있었는데, 거기서 꽤 오래 애를 먹었다. 어찌저찌 '이게 문젠가? 이건가?' 하며 console.log도 찍어보고, 코드도 변경하며 문제점을 찾았다. 자세한건 후에 틀렸던 문제에 기술하도록 하겠다. 어쨋든 꽤나 어려웠다. 꽤 긴 시간동안 책을 바라봐야했고 손으로 써가며 공부하다보니 손이 아플때까지 필기를 했다. 이해하기 어려워서 예제 설명을 10분을 쳐다보기도, 어떤건 바로 이해가 되기도 하였다. 뭐든 이 챕터의 공통점은 '아 이거 중요한 거 같다'라는 생각이 계속 들었던 것이다. ..

1차 공부/TIL 2022.11.11

221110 반복문(4장)

오늘은 마지막 확인문제중 반복문을 이용하여 한개의 객체에 *로 이루어진 다이아몬드 모양을 만드는 문제를 1시간을 고민하다 정답을 보게 되었다. 피라미드형식으로 쌓는것에는 성공하였지만 도저히 역피라미드 모양을 만드는게 안되어 확인했었다. 정답을 보니 허탈했고, 왜 거기까지는 내가 생각하지 못했나를 한탄하게 되었다. !true = false !false = true 배열 배열은 여러 자료를 묶어 한번에 선언해 다룰 수 있게 만드는 자료형이다. [ ] 대괄호를 사용하고, 내부에서 쉼표(,)로 분리한다. 내부에 있는 값들을 요소라 칭한다. 어제 틀렸던 문제를 여기서 확인 할 수 있었다. 숫자로 이루어진 변수를 배열에 관한 코드로 풀려다보니 해결이 안되었었는데, 배열을 공부해보니 완벽히 틀렸었다는걸 알게 되었다...

1차 공부/TIL 2022.11.10

221108 조건문(3장)

오늘은 처음으로 기술매니저님이 오시기 전에 스터디 팀원분께 질문을 했었다. 그 분께서 코드를 보고 문제점을 말씀해 주시기도 하였고, 코드를 보시는 동안 다시 생각해서 스스로 문제점을 알아내기도 하였다. 나도 항해 주특기가 시작 되기 전 다른 분들께 도움을 드릴 수 있는 사람이 되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였다. && - 논리곱 연산자 : 어느 한 쪽이 false이면 결과는 false || - 논리합 연산자 : 어느 한 쪽이 true이면 결과는 true === - 값, 자료형 둘 다 같은지 비교 == - 둘의 값이 같은지 비교 3장 - 조건문 if 조건문 간단하게 if 옆 소괄호 안의 값이 true이면 중괄호 안의 명령을 수행하고, false이면 무시하는 조건문이다. if else 조건문 위 if조건문과 다르게..

1차 공부/TIL 2022.11.08

221107 자바스크립트 개요 및 자료와 변수(1~2장)

- 오류 코딩을 하다보면 사소한 실수 혹은 잘못 이해한 점 때문에 오류가 발생하곤 한다. 웹종5주차를 몇번이나 들었음에도 마지막으로 들었던 때에도 오류가 발생했었다. "OO is not defined", "Invaild or unexpected token", "missing ) after argument list" 각각 오타가 발생하였거나, 따옴표를 잘못 입려갛였거나, 괄호를 닫지 않았을 시에 발생하는 오류이다. - 양식 통일 팀과 협업하여 토이프로젝트를 진행하거나 혼자 프로젝트를 만들 때에도 코딩의 양식은 중요하다. 예를들어 밑의 코드 처럼 if 문 아래의 연관코드를 한번 들여 쓸 것인지, 두번 들여 쓸 것인지 혹은 if문으로 실행되는 코드를 묶는 {}를 아래처럼 쓸지 또는 한줄내려 {}한번에 다 쓸 ..

1차 공부/TIL 2022.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