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23 4

할인 행사

function solution(want, number, discount) { var answer = 0; let wantMap = new Map() for(let i = 0; i { if (value코드를 작성하고 문제를 다시 읽어보니 당연히 틀린것이라고 생각이 들었다.그 이유는 연속적으로 원하는 물건이 들어오는지는 확인을 하지만, 해당 연속에서 원하는 물건의 개수가 맞춰질수있는지에 대한 예외처리가 없기때문이다.또한, 알맞은 순서와 알맞은 순서 사이 틀린 값이 들어올 때도 고려하여 모든 discount배열을 돌아야 하는데 해당 부분도 부족한 것 같다. function solution(want, number, discount) { var answer = 0; for..

24.07.23 This

this는 실행 컨텍스트가 생성될 때 결정된다. 이것을 this를 bind한다라고 한다. 전역공간에서의 this는 전역 객체를 가리킨다. this에는 호출을 누가했는지에 대한 정보가 담긴다.  함수에서의 this, 메서드에서의 this함수와 메서드는 비슷해보이지만 '독립성'에서 차이가 있다.함수는 그 자체로 기능을 수행하지만, 메서드는 호출당한 객체에 대한 동작을 수행한다.함수()객체.메서드() var func = function (x) { console.log(this, x);};func(1);var obj = { method: func,};obj.method(2);함수자체에서의 this는 전역객체를 의미함을 알 수 있다.  메서드 내부에서의 thisvar obj = { methodA: fu..

2차 공부/TIL 2024.07.23

24.07.23 콜/스택, 실행 컨텍스트

실행 컨텍스트란 실행할 코드에 제공할 환경정보들을 모아놓은 객체이다. 이것들을 스택의 한 종류인 콜스택에 쌓아올리는데, 이를 통해 가장 위에 쌓인 컨텍스트와 관련된 코드를 먼저 실행하는 환경 및 순서를 보장할 수 있다.// ---- 1번var a = 1;function outer() { function inner() { console.log(a); //undefined var a = 3; } inner(); // ---- 2번 console.log(a);}outer(); // ---- 3번console.log(a);  1. 전역컨텍스트 in2. outer()을 만나 전역 중단 후 outer컨텍스트 in3. inner()을 만나 outer 중단 후 inner컨텍스트 in4. inner()실행 후 inn..

2차 공부/TIL 2024.07.23

24.07.23 변수선언과 데이터 할당 / 불변하다 vs 불변하지 않다.

let str = 'test'str = 'modify'변수 선언 및 할당 시 변수이름(식별자)와 변수(데이터)가 각각 메모리 상에 저장된다.아래와 같이 식별자(변수이름)은 1002번 주소에 str로 저장되고, 해당 식별자가 지닌 변수(데이터)의 주소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데이터는 따로 주소값을 받아 저장되는데, 처음 5008번을 받고 다시 재할당되자 기존 데이터 주소는 변화시키지 않은 채로 새롭게 주소값을 받아 5009번에 modify를 저장하고, 해당 주소를 str 식별자에 붙여준다.  변수 vs 상수 - 변수 : 변수 영역 메모리를 변경할 수 있음 - 상수 : 변수 영역 메모리를 변경할 수 없음 불변하다 vs 불변하지 않다 - 불변하다 : 데이터 영역 메모리를 변경할 수 없음 - 불변하지 않다 ..

2차 공부/TIL 2024.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