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2/28 2

useRef가 필요한 상황을 예시를 들어 설명해주세요

답변 DOM에 접근할 때 사용합니다. 특정 엘리먼트의 크기, 스크롤바의 위치, 포커스 설정 등등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또한 useRef로 설정된 주소값은 리렌더링 되더라도 바뀌지않아 current값이 변화해도 리렌더링에 관여하지 않습니다. 꼬리질문 ref와 state의 차이? state는 리렌더링에 관여하지만 useRef로 선언된 변수는 리렌더링에 관여하지 않습니다. 특정 버튼을 눌렀을 때 특정 input태그에 focus가 잡히는 기능을 구현할 때 사용 참고자료 https://velog.io/@fejigu/React-useRef-%ED%95%84%EC%9A%94%EC%84%B1-%ED%95%84%EC%9A%94%ED%95%9C-%EC%83%81%ED%99%A9-%EC%82%AC%EC%9A%A9%E..

배열, 객체를 const로 선언했는데 요소나 속성을 추가할 수 있는 이유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답변 배열, 객체는 const로 변수를 선언했을 때 찾아가는 주소만 할당된 참조 자료형이기 때문입니다. 요소나 속성을 변경하더라도 해당 주소는 변경되지 않으므로 const로 선언된 배열, 객체라도 속성을 추가할 수 있는 것 입니다. 꼬리질문 불변객체를 만드는 법. const로 재할당은 불가능하지만 속성은 변경이 가능합니다. 이때 Object.freeze()메소드의 재할당은 가능하지만 속성은 변경 불가한 특성을 활용해 불변객체를 만들 수 있습니다. 또는 Object.assign()메소드, 전개연산자, lodash의 cloneDeep()을 활용해 깊은 복사를 하여 원본 객체를 보존하는 방법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