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공부/React공부

Hook이란? component의 lifecycle이란? component가 리렌더링되는 조건은?

공대탈출 2022. 11. 26. 00:22

Hook이란 기존 class바탕의 코드를 작성할 필요 없이 상태 값과 여러 React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능입니다.

 

useState() - State만들기 / 한개를 만들거나 여러번 사용하여 다른 이름의 State를 만들 수 있다.

 

useEffect() - 컴포넌트 안에서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구독하고, DOM을 직접 조작하는 작업같은 side effect를 수행할수 있게한다.

 

useContext() - 컴포넌트를 중첩하지 않고도 React context를 구독할 수 있게 해준다.

 

useReducer() - 복잡한 컴포넌트들의 state를 reducer로 관리할 수 있게 해준다.

 

Hook 사용규칙

1) 최상위에서만 Hook을 호출해야합니다. 반복문, 조건문, 중첩된 함수 내에서 Hook을 실행하지 마세요.

2) React 함수 컴포넌트 내에서만 Hook을 호출해야 합니다. 일반 JavaScript 함수에서는 Hook을 호출해서는 안됩니다.

    (호출 가능한 곳이 딱 한군데 더 있는데, 바로 직접 작성한 custom Hook내에서 가능합니다.)

 

다양한 내장 Hook참고링크

 

Hooks API Reference – React

A JavaScript library for building user interfaces

ko.reactjs.org

 

Hook 개요 – React

A JavaScript library for building user interfaces

ko.reactjs.org

 

 

왜 state는 변경할 값을 만드는건데 상수선언인 const로 만드는 걸까?????

 

함수안에서 변수의 수명이 다하여도 이름을 참조하는 변수가 있으면 생명주기가 끝나지 않는다.

 

이를 클로저라고 하는데 리액트에서는 setState가 이를 담당한다.

 

즉, 렌더링이 이루어지면 이 함수가 변수값을 참조하여 보관하고 있다가,

새로운 값을 할당할 때 이 안에서 새로운 const를 선언함으로서 충돌을 막는 것 이다.

//

함수내부의 변수가 함수수명이 끝나더라도 변수의 참조가 게속된다면 그 변수의 수명은 계속된다.

이를 클로저라고하고, 이렇게 컴포넌트가 render가 되더라도 state를 기억할 수 있다.

 

허나 let을 사용하게되면 name = '김마마'와 같은 변수형식의 할당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고 setState를 사용한 변수 변경만 허락하기위해 const를 사용한다.

(그러니까 일반적인 재할당을 막고, 특정 방법으로만 가능하게 하기 위함 인듯?)

 

 

component와 lifecycle

리액트는 컴포넌트 기반의 view를 중심으로한 라이브러리이다.

그러다보니 각각의 컴포넌트에는 라이프 사이클 즉, 컴포넌트의 수명주기가 존재한다.

컴포넌트의 수명은 보통 페이지에서 렌더링되기 전인 준비단계부터 페이지에서 사라질 때 끝이난다.

라이프 사이클은 위와같이 총 9개가 존재한다.

 

크게 세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생성될 때, 업데이트할 때 , 제거할 때 이다.

이를 리액트에서는 마운트, 업데이트, 언마운트라고 한다.

 

여기서 마운트는 DOM이 생성되고 웹브라우저 상에서 나타나는 것을 뜻하고, 반대로 언마운트는 DOM에서 제거되는 것을 뜻한다.

 

주의하여 볼 것은 업데이트 부분인데, 업데이트는 다음과 같은 4가지 상황에서 발생한다고 한다.

1) props가 바뀔 때

2) state가 바뀔 때

3) 부모 컴포넌트가 리렌더링 될 때

4) this.forceUpdate로 강제로 렌더링을 트리거 할 때

 

 

라이프 사이클 메서드 살펴보기 (클래스, 훅)

1. constructor = useState()

이 메서드를 사용하여 초기 state를 설정할 수 있다.

// Class
class Example extends React.Component {
    constructor(props) {
        super(props);
        this.state = { count: 0 };
}

// Hooks
const Example = () => {
    const [count,setCount] = useState(0);
}

 

2. getDerivedStateFromProps

이 메서드는 props로 받아 온 값을 state에 동기화 시키는 용도로 사용한다. 컴포넌트가 마운트 될 때와 업데이트 될 때 호출된다.

// Class
class Example extends React.Component {
  static getDerivedStateFromProps(nextProps, prevState) {
    if (nextProps.value !== prevState.value) {
      return { value: nextProps.value }
    }
    return null
  }
}

 

 

3. shouldComponentUpdate

이 메서드는 props나 state를 변경했을 때  리렌더링을 할지 말지를 결정하는 메서드이다.

이 메서드에서는 반드시 true나 false를 반환해야 한다. 오직 성능최적화를 위한 것이며, 렌더링 방지를 목적으로하면 버그로 이어질 수 있다.

// Class
class Example extends React.Component {
  shouldComponentUpdate(nextProps) {
    return nextProps.value !== this.props.value
  }
}

// Hooks
const Example = React.memo(() => {
      ...
  },
  (prevProps, nextProps) => {
    return nextProps.value === prevProps.value
  }
)

클래스형도 보통 PureComponent를 추천하고,

Hooks에서도 props는 React.memeo, State는 useMemo를 활용하면 렌더링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고 한다.

 

 

 

4. render

가장 기초적인 메소드이면서 가장 중요한 메소드이다.

컴포넌트를 렌더링할 때 필요한 메서드로 유일한 필수메서드이다.

함수형 컴포넌트에서는 render을 안쓰고 컴포넌트를 렌더링 할 수 있다.

// Class
class Example extends React.Component {
  render() {
    return <div>컴포넌트</div>
  }
}

// Hooks
const example = () => {
  return <div>컴포넌트</div>
}

 

 

 

5. getSnapshotBeforeUpdate

이 메소드는 render에서 만들어진 결과가 브라우저에 실제로 반영되기 직전에 호출된다.

공식문서에 따르면 채팅화면처럼 스크롤위치를 따로 처리하는 작업이 필요한 UI등에 사용된다고 한다.

class Example extends React.Component {
  getSnapshotBeforeUpdate(prevProps, prevState) {
    if (prevProps.list.length < this.props.list.length) {
      const list = this.listRef.current
      return list.scrollHeight - list.scrollTop
    }
    return null
  }
}

함수형에서는 아직 대체가능한 Hook이 없다

 

 

 

6. componentDidMount

이 메소드는 컴포넌트를 만들고 첫 렌더링을 마친 후 실행한다.

함수형 Hooks에선 useEffect를 활용하여 다음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 Class
class Example extends React.Component {
    componentDidMount() {
        ...
    }
}

// Hooks
const Example = () => {
    useEffect(() => {
        ...
    }, []);
}

useEffect()의 []의존성 배열을 비워야 똑같은 메소드를 구현할 수 있다.

 

 

 

7. ComponentDidUpdate

이 메소드는 리렌더링을 완료한 후 실행한다.

업데이트가 끝난 직후이므로, DOM관련 처리를 해도 무방하다.

// Class
class Example extends React.Component {
    componentDidUpdate(prevProps, prevState) {
        ...
    }
}

// Hooks
const Example = () => {
    useEffect(() => {
        ...
    });
}

 

 

 

8. componentWillUnmount

이 메소드는 컴포넌트를 DOM에서 제거할 때 실행한다.

componentDidMount에서 등록한 이벤트가 있다면 여기서 제거 작업을 해야한다.

함수형 컴포넌트에서는 useEffect CleanUp함수를 통해 해당 메소드를 구현할 수 있다.

// Class
class Example extends React.Component {
    coomponentWillUnmount() {
        ...
    }
}

// Hooks
const Example = () => {
    useEffect(() => {
        return () => {
            ...
        }
    }, []);
}

 

 

 

9. componentDidCatch

마지막 메소드는 사진에는 없지만 존재한다.

이 메소드는 컴포넌트 렌더링 도중 에러가 발생했을 때 application이 멈추지 안혹 오류 UI를 보여줄 수 있게 해준다.

// Class
class Example extends React.Component {
  componentDidCatch(error, info) {
    console.log('에러가 발생했습니다.')
  }
}

 

어렵다. 솔직히 몇개는 읽을만도한데 몇개는 진짜 모르겠다.

 

 

라이프사이클 이해에 도움되는 사이트

 

React Lifecycle Methods diagram

Fully interactive and accessible React Lifecycle Methods diagram.

projects.wojtekmaj.pl

 

리액트 라이프사이클의 이해

시작하기 전에 리액트 라이프 사이클을 원래 알고는 있었지만 정확하게 한번도 정리해본 적이 없는 것 같아서 글을 쓰게 되었다. 더불어 리액트 라이프 사이클과 최근 사용되는 Hooks와도 비교해

kyun2da.dev

 

 

 

 

component가 리렌더링되는 조건

위에서 말한 업데이트가 될 때 이다.

1) props가 바뀔 때

부모 컴포넌트로부터 받은 props가 변경되면 props값을 받은 자식 컴포넌트도 리렌더링된다.

 

2) state가 바뀔 때

리액트는 state 변경이 감지되면 리렌더링을 한다.

 

3) 부모 컴포넌트가 리렌더링 될 때

부모 컴포넌트가 업데이트 되어 리렌더링되면 자식 컴포넌트도 리렌더링된다.

 

4)새 props가 들어올 때

부모 컴포넌트로부터 새 props가 들어오면 자식 컴포넌트는 리렌더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