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ort React from 'react';
function Child({ name }){
return <div>내 이름은 {name} 입니다. </div>
}
export default Child
위와같은 코드를 실행하면, name에 지정된 값이 없기때문에 "내이름은 입니다"가 출력된다.
따라서 기본 props를 지정해주어 특정 문구가 출력되도록 한다.
부모 컴포넌트에서 props를 보내주지않아도 설정될 초기 값이 defaultProps이다.
// components/Child.js
import React from 'react';
function Child({ name }) {
return <div>내 이름은 {name} 입니다. </div>;
}
Child.defaultProps = {
name: '기본이름',
};
export default Child;
이렇게 Child.defaultProps = { name : '기본이름',}으로 사용 할 수도 있다.
// components/Child.js
import React from 'react';
function Child({ name = '기본이름' }) {
return <div>내 이름은 {name} 입니다. </div>;
}
export default Child;
또한 이렇게 중괄호 안에서 직접 지정할 수도 있다.
'1차 공부 > React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Hook이란? component의 lifecycle이란? component가 리렌더링되는 조건은? (0) | 2022.11.26 |
---|---|
State란? (0) | 2022.11.25 |
JSX문법 규칙 (0) | 2022.11.25 |
렌더링이란 무엇일까? (0) | 2022.11.25 |
Prop Drilling (1) | 2022.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