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공부/TIL

24.06.07 PostgreSQL

공대탈출 2024. 6. 7. 16:43

PostgreSQL이란?

PostgreSQL은 뛰어난 안정성, 유연성, 개방형 기술 표준지원으로 알려져있는 오픈소스 데이터베이스이다.

다른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과 달리 비관계형 및 관계형 데이터 모두를 지원한다.

 

PostgreSQL의 장점

  1. 성능 및 확장성
    • 데이터 인증 및 읽기/쓰기 속도가 필수적인 대규모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PostgreSQL은 지형 공간 지원 및 무제한 동시성과 같은 다양한 성능 최적화를 지원한다. 따라서 심층적이고 광범위한 데이터 분석을 실행할 때 효율적이다.
  2. 동시성 지원
    •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데이터에 접근하는 경우 충돌을 방지하기위해 접근을 차단한다. 하지만 PostgreSQL은 다중버전 동시성 제어(Multiversion Concurrency Control)를 사용하여 동시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읽기가 쓰기를 차단하지 않고 쓰기가 읽기를 차단하지 않는다.
  3. 심층적인 언어지원
    • 파이썬, 자바스크립트, C/C++, Ruby 등 일반적인 코딩언어는 PostgreSQL에 대해 지원을 제공하여 시스템 충돌을 일으키지 않는다.
  4. 비즈니스 연속성
    • 여러 서버에 걸친 비동기/동기식 복제 방법을 통해 서비스의 고가용성을 보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PostgreSQL의 기능

  • 특정 시점 복구
    • 항상 WAL(미리 쓰기 로그)를 유지 관리하기 때문에 모든 데이터베이스 변경사항을 기록한다. 따라서 파일 시스템을 안정적인 시작점으로 복원할 수 있다.

PostgreSQL에서 유명한 supabase를 사용해 보아야 겠다. 이전에는 백엔드 개발자와 같이 프로젝트를 하여 서버는 데이터흐름만 조율했을 뿐 관심밖의 영역이었는데, Firebase나 supabase를 사용해야하는 때이므로 미리 관심을 두는게 좋다 생각하였다.

'2차 공부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06.11 리액트 시작하기  (1) 2024.06.11
24.06.10 숫자기억게임 페이지 만들기  (0) 2024.06.10
24.06.05 new Set()  (0) 2024.06.05
24.06.04 콘솔 적극 활용하기  (0) 2024.06.04
24.06.03 JS 톺아보기  (0) 2024.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