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공부/TIL

24.04.29 화살표함수

공대탈출 2024. 4. 29. 22:09

전에 사용한 map(), filter()메소드를 쉽게 사용하고자 화살표 함수를 사용한다.

(매개변수) => {}

 

map()의 콜백함수로 화살표함수를 사용한다면 이렇게 사용한다.

const array = [0,1,2,3,4,5,6,7,8,9]
array.map((value) => value*value )
//(10) [0,1,4,9,16,25,36,49,64,81]
const array = [0,1,2,3,4,5,6,7,8,9]
array
	.filter((value)=> value%2 ===0)
    .map((value) => value*value)
    .forEach((value) => {
    	console.log(value)
    })
//0
//4
//16
//36
//64

 

이전에 프로젝트에서 사용했던 코드가 있다.

updateSearchedCampList: (state, action) => {
      const { campId, likes } = action.payload;

    state.searchedCamps = state.searchedCamps.map(camp =>
    Number(camp.campId) === Number(campId)
      ? { ...camp, likes: likes }
      : camp,
    );
},

서버로부터 campId를 받아오고, 미리 받아둔 camp목록의 campId와 비교하여 같은 campId를 가진 목록만 보여주려는 검색용 코드였다.